무협지(아름교)

되나마나 무협지

성공주식 2006. 3. 27. 16:21

    되나마나 무협지

 

 

 

아름명교--무림을 통합 하려는 명교 로 위장한 사파(邪派) 의 최고집단

 

교주 : 강호(江湖) 에 전혀 나오지 않아 그 존재를 모르며  다만 구전(口傳)되어오는
   말 로 는 도륙도(屠戮刀) 라는 도(刀) 를 사용하며
   건곤대나이법(乾坤大那移法) 을 익혔으며,
   최후에는 동귀어진(同歸於盡) 의 술수를 쓴다 함
   내공(內功) 및 내가진기(內家眞氣) 가 최소한 일 갑자(一甲子) 이상인 자만
   그를 볼 수 가 있으며 내공(內功) 이 약한 자 는 쳐다 보는 것 만으로도
   내상(內傷) 을 입어 그 자리 에서 피를 토하고 죽는다 함
   교주는 처첩 의 내공 을 흡입 하는 <채음보양술(採陰補陽術)> 을 익혔으며
   육합전성(六合傳聲)의 전음술(傳音術) 을 익히는 등 하여 무공이
   출신입화지경(出神入火之境) 의 경지에 이르렀슴


오대호법 : 아미파(峨嵋派) 의 오행검진(五行劍陣) 을 변형하여 녹림오행검진(綠林五行劍陣)
  을 펼치는 다섯명 으며  교주의 밀명을 하부조직에 지시,지휘 감독하며
  가끔 강호(江湖) 에도 출몰하여 강호 인사 의 동정을 살피며,
  매화수전(梅花手箭) 과 경신법(輕身法) 이 초 절정 의 경지에 이르렀으며
  구파일방(九派一幇) 및 무림세가(武林世家)의 고수를 만나면
  전음(傳音) 으 로 다른 사제 또는 교도를 불러들여 한순간에 미혼술(迷魂術) 을 써서
  상대를 거꾸러뜨림

 

삼십인(三拾蚓,5*6=30):대사형(大師兄),사저(師姐),사제(師弟),사매(師妹) 및,
  경신법(輕身法) 이 능공허도(凌空虛道) 의 수준에 달하고
  미혼술(迷魂術) 과 녹림만천화우(綠林滿天花雨)의 초식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며 전음(傳音)술 역시 전음입밀(傳音入密) 의 수준에 이르는 자 들 로
  구성 되었으며, 일부는 하오문(下午門) 출신 들도 있다 하며
  홍루(紅樓) 를 경영 하여 자금 을 만드는 자 도 있음.
 (한조 에 오명씩 육개 의 조. 오 륙 은 삼십)
  삽십인 중에는 구파일방(九派一幇) 이나 무림세가(武林世家) 등 정파 소속 인물 들도
  있으나 교주 의 위세 에 눌려 어쩔 수 없이 몸을 담고 있는 이들도 있음.
  이들의 위세가 가히 하늘을 찌를 듯 높아 조금만 심기를 언잖게 하여도
  불문곡직 단체로 공격하여 상대를 주살함

 

교시  :1 에고이즘( egoism ) 을 바탕에 깔고 교인들 끼리 참여,사랑,배려,단결을
       
       2  충성심 을

     

       3 타 교 나  구파일방(九派一幇),무림세가(武林世家) 가입자는 단체로
         공격 하여 주살 시킴을  교시 로 하고 있슴
      


강호(江湖)무림(武林) 들의 대처법

    신법(身法) 이나 내공(內功) 이 약한 구파일방(九派一幇) 이나 무림세가(武林世家) 의
    무림인(武林人)들은 상기 교주나 오대호법, 삽십인 들을 만나면
    잠행술(潛行術) 이나 경신법(輕身法)중 최고인 궁신탄영(弓身彈影), 허공답보(虛空踏步)
    등으로 안전 을 도모 하시기 바람,
    그렇지 않으면 독질려(毒疾藜),단혼사(斷魂沙) 등의 용독술(用毒術) 에
    중독 되고 중독이 되면 요상단(療傷丹)으로 치료 하거나 ,내가진기(內家眞氣)또는
    내가심법(內家心法) 이 이갑자(二甲子) 이상 소모되는 내가요상술(內家療傷術) 로 의 치료,
    그렇지 않으면
    무공이 탈태환골(脫胎換骨) 의 경지에 도달하여야만 치료가 가능하며,
    치료가 된다 하여도 방장(方丈) 또는 장문인(掌門人) 에게 파문 당하듯이 되어
    모든 문파에서 꺼려 할뿐만 아니라,
    때로는 화골산(化骨散) 을 사용하기도 하므로 화골산(化骨散) 이 인체 에 닿으면
    이에 대한 치료 방법조차 없으니 되도록 이면 피하는 것이 상책임
    수중에 돈이 많은 강호(江湖)제위 들은 표국(驃局)에서 여러명 의 보표(保票) 를
    고용하여 보표(保票) 가 대가 를 치루는 사이 36계 줄행랑 하는 것 도
    비겁 하지만 방편 이라면 방편임
  
  

 -----------------용어해설  -----------

명교
  (1)구성 - 교주 한 명을 중심으로 하여서 광명 좌사 와 광명우사 가 교주를 보필하고
      그 밑으로 사대 호법이 있으며 또 그 밑으로는 오산인이 있다.
      그리고 별동정예부대가 있는데 이를 오행기 라 한다.
  (2)상징물인 : '불' - 명교 의 상징은 불이다. 모 든 번뇌를 태운다 고 한다.
      아울러서 착한 이의 영혼을 깨끗하게 소제해 주고 악한이의
      영혼은 태워 소멸시켜 버린다는 뜻도 있다.
  (3)성화령 - 김용의 의천도룡기 에 나왔던 명교 의 교주신물.
     백금에 현철과 황철사 를 섞어 주조 한 것 으로 엄청난 고온에서도 녹지 않고
     절대로 깨어지지 않는 성질을 지녔으며 그 표면에는 페르시아의 살수무공이 적혀 있다.
  (4)대표무공 : 건곤대나이 - 이것은 완벽한 무공이라기보다는 무공과 심법 의 혼합형태 같다.
     순전히 내공에 의지하여서 힘을 내긴 하나 그 발휘되는 힘은 엄청나서
     웬만한 바위도 일격에 부술 정도이고 고단계로 가면 적의 공격을 마음대로 할 수 있으며
     배우는 이의 내공수준과 오성에 큰 영향을 받는다
  (5)특징 : 충성심 - 명교 의 교인들은 충성으로 말하자면 둘째 가라면 서러워 할 정도임.
    게다가 서로 돕는다는 교리 덕분에 단체공격 시 에 대단한 위력을 보여준다.
    무협소설에 등장하는 마교 는 명교 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중국에서 정부에 의해 금지된 종교는 거의 마교 로 불리웠다.

 

강호江湖)---강 과 호수  즉  일반 무림인 들 이 생활 하는곳 이라 하겠다
            (1)강과 호수,
            (2)양자강과 동정호(洞庭湖),
            (3)세상,
            (4)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곳,속세를 떠난 선비가 사는 곳

 

도륙도(屠戮刀)--말 그대로 도륙 을 내버리는 도(刀)

 

도(刀)
 의미 - 중국의 도(刀)를 자주 청룡도(靑龍刀)라 부르기도 하지만,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 도(刀)'라 하면 '유엽도(柳葉刀)'를 가리킨다.

   참고로 청룡도는 삼국지에서 유명한 '관우의 청룡언월도(靑龍偃月刀)'이며,
   장병기인 대도(大刀)에 해당된다.

  도(刀)는 여기서 소개하는 단병기(單兵器)만이 아니라 장병기(長兵器)에도
    수많은 종류가 있어, 중국 무술의 병기들 중에서도
    가장 많은 종류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건곤대나이법(乾坤大那移法) - 명교 의 최고 무공 총 7단계로 이 무공을 창안한
    사람들도 7단계까지 못 익혔다, 하지만 장무기 가 구양신공 으로 완성한다.
 
   - 상대의 기운을 역이용하는 합기의 절정으로 사량발천근 보다 
    한 단계 위라고 할 수 있다. 여러명 의 적과 상대할 때, 공격해 들어오는 무공.

 

동귀어진(同歸於盡) - 둘이 함께 죽기를 바라고 공격하는 최후의 술수

 

내공(內功) - 호흡을 단련하여 신체의 자율신경을 조절 하고 새로운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한 무공의 한 가지.

 

내가진기(內家眞氣) - 내공 수련을 통해 쌓인 진기.

 

내상(內傷) - 경혈 에 손상을 입는 것을 말한다.
    내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내공에 손상을 주지는 않고 스스로가
    운기조식 을 통해 치유할 수 있다.
   그러나 내상이 무거운 경우에는 다른 사람의 내공 으로 도움을 받거나
   신단 영약을 사용하지 않고는 치료가 곤란하며,
   심한 경우에는 자신의 내공을 전부 잃거나 목숨까지 잃을 수도 있다.

 

채양보음술(採陽補陰術) -여성이 방사를 통해 상대방의 원기를 흡수함 으로써
    자신의 공력을 증강시키는 것인데, 원기 를 흡수당한 남성은 정혈이
    고갈되어 목숨을 잃게 된다.이 술법의 희생자로 가장 적당한 것 은
    동남이거나 아니면 내공이 정심 한 고수의 두 부류이다.
    무협소설에서는 정사양도가 모두 금기시하는 저질스러운 무공이라 표현된다.
    또한 이와 반대로 남성이 방사를 통해 여인의 원기 를 흡수하게 되면,
    이를 채음보양술(採陰補陽術)이라 한다.

 

육합전성(六合傳聲) - 전음입밀, 천리전음보다 한 단계 위의 전음술 로
    소리가 사방에 울리도록 함으로써 시전자의 소재를 숨기는 수법이다.

 

전음(傳音) - 무림에서 은밀히 대화하는 수법을 통칭하여 부르는 말.


출신입화지경(出神入火之境) - 무공이 거의 신에 맞먹는 경지에 이른 것을 일컫는 말.

아미파(峨嵋派) - 소림 과 더불어 불가 소속이지만 비구니, 여승 들로만 이루어진
   구대문파 중의 한 문파. 어떤 무협지에서는 남자승려들로 나올 때가 있는데
    그 때 쓰는 무공이 복호장법 이고 무기는 방편산 이다.

 

오행(五行) - 도가(또는 무속)의 기본이 되는, 우주간에 운행하는
     화·수·목·금·토의 다섯 가지의 원기로 오행상생(오행의 요소들이 서로를 만들어 냄)
   과 오행상극(오행의 요소들이 서로서로 이 기고 누름)의 이치로
   전 우주만물을 지배한다 는 원리.
  상생은 오행의 순서대로 토생금, 금생 수, 수생목, 목생화 화생토 를,
  상극은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 목극토 를 뜻한다.

 

오행검진(五行劍陣) - 오행을 이용한 도가 계열 합벽검진 의 한가지.
  주로 무당파 진전의 검진으로 그려진다. 

 

녹림(綠林) - 산 도둑을 일컫는 말. 전한이 망하고 왕망 의 신이 건국되었을 때
   농민반란군들이 녹림 에 터 를 잡고 도적질 을 한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경신법(輕身法) - 몸을 가볍게 하는 무공.
    경신법에는 빨리 달리기 위한 경공과 서 있는 곳에서 적의 공격 을 피하거나
    자신의 공격을 수월하게 하기 위 한 보법이 있다.

 

구파일방(九派一幇) - 정파 무림의 대표격인 아홉 개 의 거대 문파를 말한다.
    구파 가운데 대개 소림, 무당, 아미, 곤륜, 화산, 점창 의 여섯 개 문파는
    거의 예외 없이 속하고, 청성, 종남, 공동, 장백, 형산 등의 문파는
    작가의 취향에 따라 등장한다.  물론  일방이란 개방을 일컬음이다.

 

무림세가(武林世家) - 중국은 씨족적 기반이 강한 사회로,
   성씨의 영향력이 아직도 막강한 사회이다.
   무협 소설에서는 하북 팽가, 남궁세가, 문인세가, 황보세가,
   제갈세가, 모용세가 등이 자주 나온다.
   정파 무림의 대들보로 묘사된다.

 

매화수전(梅花手箭) - 깃대에 매화를 수놓은 손으로 쏘는 짧은 화 살.
    암기의 하나로 표창과 비슷하다.

 

미혼술(迷魂術) - 방문좌도의 극악한 마공, 사공의 한 가지.
   오늘날로 말하면 최면술과 같은 것이다. 대체로 이러한 류 의
  상대방의 정신을 빼앗는 마공은 상대방보다 내공이 높아야만
  효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상대방이 내공이 아무리 높더라 도
   그 근본이 정통 무공이 아닌 사마외도 의 마공이라면
  쉽사리 미혼술 에 현혹당하게 된다.
  그러나 상대방의 내공이 낮더라도 정통의 내공 을 익혀 정력이
  뛰어나다면 미혼술 에 잘 당하지 않는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섭심술(攝心術)이 있다.

 

무인들의 서열 <배분(配分).>

   사부(師父) - 아버지 격인 스승.
   사모(師母) - 스승의 부인.
   사숙(師叔) - 스승의 동생이나 친구.
   사백(師伯) - 스승의 형님.
   사조(師祖) - 스승의 스승.
   사숙조(師叔祖) - 사조의 형제.

  대사형(大師兄) - 가장 서열이 높은 맏형뻘 제자
  사형(師兄) 사저(師姐> - 선배<여자 선배>
  사제(師弟) <사매(師妹)> - 후배<여자 후배>
  그 외에는 입문(入門)한 순서에 따라 번호를 붙여 칠사제(七師弟), 팔사제,
  이사형, 오사형 등 으로 부르기도 함

 

능공허도(凌空虛道) - 하늘을 걸어다닐 경지에 이른 것으로 경공의 최상의 경지를 말한다.

 

만천화우(滿天花雨) - 온 하늘에 꽃비가 가득찬다 는 이름의 암기 발사법.
   인간이 피할 수 있는 모든 방위시간차를 두며 때로는 직선으로,
   때로는 선회하며 공격하는 암기들 때문에 공격대상은 피할 수가 없다.
   암기 술 중 가장 뛰어난 초식이다. 사천당문의 최고최후의 초식이다.
 
전음입밀(傳音入密) - 한 단계 높은 전음 술.
   의어전성 과는 달리 상대를 특정 지어서 의사를 전할 수 는 있으나,
   역시 입술을 움직여야만 하고 듣는 사람이 음성이 발출 된 장소를 짐작할 수 있다

 

하오문(下午門) - 소매치기, 도둑질, 매춘업 등에 종사하는 최하류
   인생들로 구성된 문파. 밑바닥 인생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빠르게 유통되는 정보망 을 가진 조직이다.
   정파, 사파 의 모든 무림으로 부터 배척받는 것으로 묘사된다.
  투술, 도박술, 방중술과 추적, 잠행술, 경신술 에 능하다.

 

홍루(紅樓) - 기생집.

 

'에고이즘( egoism )
   이기주의
   1.윤리학에서, 자기의 쾌락을 증진시킴을 도덕적 행위의 유일한 목적이라고 하는
     이기적 쾌락주의. 자애주의. 주아주의. ↔애타주의·이타주의.
    2.다른 사람이야 어떻든 자기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방식이나 태도. 개인주의.
      자기주의 이기주의 가 영어로 에고이즘 입니다

 

신법(身法) - 몸을 움직이는 방법.

 

잠행술(潛行術) - 상대방의 시각과 청각을 따돌리며 잠입하는 무술의 한 가지.
   잠행 술 의 대가는 또한 추적 술 의 대가이기도 하다.
   주로 동양의 인자(닌자) 들에 의해 많이 개발되었다.

 

궁신탄영(弓身彈影) - 몸을 활처럼 휘게 해서 그 탄력을 이용해 순식간에
   몸을 이동하는 최상승의 경신법.

 

허공답보(虛空踏步) - 말 그대로 허공에서 마치 계단을 걸어 올라 가듯이 또는
    내려 오듯이 움직이는 경공.

 

용독술(用毒術) - 인체에 치명적인 독을 쓰는 무술의 한 가지.

 

독질려(毒疾藜) - 독을 바른 철질려 로 당문 비전의 암기로 유 명하다.
   질려 란 일종의 가시 풀, 도깨비 풀 또는 도둑풀이라 불리는 식물이다.

 

단혼사(斷魂沙) - 혼을 끊는 모래라는 뜻의 독 모래 암기로 당문 비전이다.
   피부에 닿기만 해도 썩어 들어가 절명하는 무서운 암기이다.
 
요상단(療傷丹) - 내상을 치료하는 단약.

 

내가심법(內家心法) - 호흡을 단련하여 신체의 자율신경을 조절하고
  새로운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한 무공 의 한가지.
  주로 기의 운행을 통해 내력을 일으키며 정신을 단련한다.
  각 무공마다 독문 의 내가심법 이 있어 호흡과 기의 운행 순서가 다르다.
  무당파의 무공이 내가심법, 내공의 대표적인 예라 할 것이다.

 

내가요상술(內家療傷術) - 내공을 이용해 내상을 치료하는 고도로 어려운 치료법의 하나.

 

탈태환골(脫胎換骨) - 영약이나 엄청난 양의 진기가 몸 속에 들어 와서 생사현관
  을 타통 하면 일어나는 현상으로 피부가 벗겨지고 뼈가 바뀌어 무공을
  익히기 위한 최상의 신체조건을 갖추게 되는데 이걸 탈태환골 이라 한다.

 

방장(方丈)-화상, 국사, 주실 등 높은 중들의 처소. 무협 소설에서는 소림사 등 불문의 장문인

 

장문인(掌門人) - 문파의 책임을 맡은 자.
  전대 장문인의 의발 (衣鉢)을 전수받음으로써 임명되는데 대체로 장문인의
  제자 중에서 대제자가 임명된다.
  장문인 에게는 특정한 물질적 신표가 전달되어 그 신분을 증명하는데
  가장 유명한 것이 소림 의 녹옥불장 과 개방의 타구옥봉 이다.
  장문인의 신 표는 마치 그 장문인 이 직접 나타난 것과 마찬가지의 권위를 지니며,
  오히려 신표가 없는 장문인 이 정식으로 그 지위를 인정받지 못한다는 점에서는
  신표가 우선하는 점이 있다.
  일파의 장문인 은 무림에서 선후배의 배분에 관계없이 존중을 받으며,
  자기 문파의 선배라 하더라도 장문인의 명에 거역할 수는 없다.
  만일 장문인의 명에 거역하는 경우에 즉시 파문을 당하게 되며,
  파문을 당한 자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인간 취급을 받지 못하고 다른
  문파에 들어갈 수 도 없게 되어 사회적으로 매장된다.

 

화골산(化骨散) - 살을 녹여 뼈만 남기는 극악한 독약.
   뼈조차 남기지 않고 누런 혈 수 로 만든다고 묘사되기도 한다.
  살해 후 증거인멸을 위해 사용되었다.

 

표국(驃局) - 오늘날의 운송회사를 말한다.
  과거 중국에는 치안이 어지러워 녹림 의 도적이 많았으므로 귀중한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무공이 뛰어난 운송인이 필요하였다.
  이리하여 운송을 전문으로 하는 무림인 들의 영리를 목적으로 한 조직 이
  생겨나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표국 이다.
  운송수단이 발달하지 않았던 옛날에는 지방의 특산물을 황실에 올리거나
  다른 지역으로 물 건을 보낼 때 무척 힘이 들었을 것이다.
  이는 거리도 멀지만 맹수나 산적이 습격할 위험도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위험으로부터 물건을 안전 하게 지켜주고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운송해 주 는 곳.
  대개 무협지에서는 표국 구성원들의 무 공이 형편없는 것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그들의 무공 수준은 상당히 높았다고 한다.
  또한 그들은 실전의 경험도 풍부하여 근 래 중국의 권법들 중 표사 들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것도 상당수에 달한다고 한다.

 

보표(保票) - 수행원, 경호원.

 

일갑자(一甲子) - 일 갑자란 60년을 말한다. 일갑자 의 내공이란
  육십년 을 수련한 내공을 말한다

 

 

 이거이 장난삼아 시작 했는데  시간  절라걸리네...ㅋㅋ

 

  2006.03.27

 성공주식